지난 포스팅에서는 카메라 스펙 보는법을 포스팅 하였다. (글 하단에 링크를 걸어두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렌즈의 스펙을 읽는법을 포스팅 해보록 하겠다.
참고로 렌즈는 이름만 봐도 대략적인 해당렌즈의 스펙을 읽을수있다.
우선 먼저 알아야할 것들을 짚고 넘어가자.
24mm , 70mm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정확히는 렌즈의 제2주점과 평행광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이미지센서까지의 거리를 말하는데 사실 이런거 알 필요없다.
초점거리는 쉽게 생각해 줌(zoom)의 가동범위 라고 생각하자.
24-70mm 같은 줌의 범위를 가진 렌즈를 줌렌즈, 24mm 처럼 한 범위를 가진 렌즈를 '단렌즈'(or 단초점 렌즈) 라고 한다.
50mm를 기준으로 표준렌즈라 하며 이보다 짧으면 광각, 길면 망원렌즈라 한다.
참고로 처음 렌즈를 구매하는것이라면 (35mm판 기준 환산화각)24-70mm 정도의 초점거리를 가진 표준줌렌즈를 가장 추천한다.
이전 글(글 하단에 링크를 걸어두었다.)을 봤으면 알겠지만 셔터스피드, ISO와 더불어 조리개 역시 빛을 구성하는 3요소중 하나이다.
'f값' 이라고도 하며 수치가 작을수록 개방이 큰 즉, 밝은 것이다.
f1.8, 1:1.8, f/1.8 등으로 표기한다.
또한 고정조리개값을 가진 렌즈와, 가변형 조리개값을 가진 렌즈가 있다.
보통 고정조리개값을 갖고 있는 렌즈는 가격이 고가인 편이다.
시그마 A 24-70mm F2.8 DG DN sony FE용 렌즈를 가지고 예를 들어보자.
복잡해 보여도 대부분 이런식으로 렌즈명칭이 붙혀진다.
초점거리, 조리개값, 마운트 종류만 봐도 무방하며, 이것 외에는 사실 각 제조사별 고유의 기술이며 명칭도 모두 다르다.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내가 갖고있는 카메라의 마운트가 무엇인지만 외워두고 초점거리와 조리개값 정도만 보면 되는것이다.
이전 포스팅을 확인하려면!
카메라, 렌즈 스펙 보는법 이 글만 보면 해결됨.
카메라, 렌즈 스펙 보는 법 이 글만 보면 해결됨. 카메라 혹은 렌즈를 구매하고싶은데 무슨 복잡한 용어가 왜 이렇게 많을까? 그냥 다 비슷비슷한것 같은데, 뭐가 다른 걸까? 뭐가 더 좋은걸까? ��
tigerhelper.tistory.com
아래 링크에서 각 제조사별 고유 기술들의 명칭에 대해서 정리한 포스팅 링크를 걸어두었다.
초보자를 위한 카메라 용어정리 최신화 하다! -사진에 입문하기
초보자를 위한 카메라 용어정리 최신화 하다! -사진에 입문하기 카메라 렌즈 용어는 왜 이렇게 많은지, 왜 이렇게 카메라사 별로 말들이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른 건지. 카메라 사진에 이제 ��
tigerhelper.tistory.com
낮에 장노출을 원한다면 ND필터 챙기세요. (0) | 2020.11.30 |
---|---|
중고 카메라 또는 렌즈 구매시 알아두어야 할 점? 주의사항 알려드려요!! (0) | 2020.11.18 |
카메라, 렌즈 스펙 보는법 이 글만 보면 해결됨. (0) | 2020.10.07 |
흥미로운 사진의 역사 열두 번째, 19세기 예술사진. - 사진에 입문하기 (0) | 2020.09.19 |
흥미로운 사진의 역사 열한 번째, 사진과 사회. - 사진에 입문하기 (0) | 2020.09.16 |